봉 두 완 회 고 록
페이지 정보
황금알관련링크
본문
봉 두 완 회 고 록
1964년 서독 방문
을 마치고 귀국
하면서 우리밥 비벼 먹을까하는 어느 시골 농부 같았던 박정희대통령이 내가 죽고나면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고 하는 대목을 두고 하염없이 눈물만 흘린 봉두완 앵커.
봉두완 앵커는 박정희 정부때인 1970년대 동양방송에서
“안녕하십니까 봉두완입니다”라는 시사프로그램 진행자
로 권력자에게도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은 봉두완씨가
최근 펴낸 자신의 회고록에서 박정희대통령과 육영수여사의 에피소드를 소개했다.
그는 1961년 5·16혁명으로 집권한 박정희대통령이 시골 농부 같은대통령
이었다고 회고했다.
어느 날 육여사의 연락을 받고, 청와대
를 방문한 봉두완 앵커는 육영수여사
와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를 나누다가 자리에서 일어나려는데 때마침 박정희대통령이 들어 오면서 ‘음... 깡패가 여기 왔구먼 오래만이요. 봉두완씨’ ‘아이구, 안녕하십니까? 대통령 각하’ 하면서 인사를 하였다.
까칠한 방송 기자를 깡패로 애둘러 말한 것이다.
육여사는 대통령에게 자리를 권하며 그동안 나눴던 대화를 대수롭지 않은 말투로 간략하게 전했다.
봉두완은 육여사가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시국현황에 대해 몇가지 얘기를 하고 자리를 뜨려하자, 박대통령이 ‘저녁이나 같이 하고 가지 봉두완씨’
그러자 봉두완은 ‘예’ 하고 앉았더니 ‘우리 식구들하고 저녁식사
나 같이해요’
봉두완이 같이 한 박대통령과의 식사는 온 가족과 함께 한 자리였다.
대통령의 딸 근혜와 근령은 먼저 청와대
2층 가족식당에 앉아 있었고 아들 지만이가 헐레벌떡 뛰어와 자리에 앉으며 대충 인사하는 것을 보고
‘야 무슨 인사를 그리하니 손님한테’ 대통령의 호통에 지만은 다시 일어나 정중하게 인사를 하는 것이었다.
저녁상은 놀라울 정도로 간소했고 대통령이 좋아하는 시바스리갈 한 병을 따놓고 서로 주거니 받거니 술을 마셨다.
얼큰해진 대통령이 봉두완에게 한마디 했다.
‘우리 같이 밥비벼 먹을까? 봉두완씨는 정말 애국자인거 같아’ ‘예! 아니 각하께서 무슨 황공한 말씀을...’
봉두완은 그날 몹시 취했다.
거나하게 취했을 때 박대통령이 불쑥 말했다.
우리 여기 밥비벼 먹을까?
아 네 좋습니다.
박대통령과 함께 한솥밥 먹듯이 남은 푸성귀와 나물 등을 한 그릇에 섞어 맛있게 밥을 비벼 먹었다.
봉두완은 박정희대통령의 서민다운 모습에
다시 한번 놀랐다.
밖에서는 독재자로 욕을 먹었지만 옆에서 본 대통령은 여느 서민과 다름이 없었다.
봉두완은 농부같은 순수함을 보이고 인간적으로 사람을 대하는 박대통령의 모습을 결코 잊을
수가 없다고 회고했다.
봉두완이 다시 청와대 초대를 받았을 때에는 육영수여사가 문세광
의 흉탄에 세상을 떠난후였다.
박대통령은 창문 커튼을 걷어 올리고 창밖을 바라보고 있을때 ‘안녕하십니까 각하! 봉두완입니다’ 하니 ‘여기가 방송국인가 그래...
그리 앉아 별고 없지. 봉두완씨 방송 비판 잘 듣고 있어요. 무작정 비판만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봉두완씨는 비판은 신랄하게 하지만 내가 보기엔 나라걱정이 배어 있어서 좋아요’
이렇게 한참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를 하다가 대통령이 자리에서 일어서며 ‘점심 식사하고 가세요’라고 했지만 안주인 없는 식탁은 허전하기만 했다.
간소한 식탁엔 포도주 한잔, 국수 한 그릇, 인절미 한 접시가 놓여 있었다.
국수는 그렇다쳐도 인절미는 좀 의아했다.
이게 웬 떡입니까?
‘응... 마침 오늘이 우리 집사람 생일이어서 임자를 불렀지.
그 사람이 생전에 봉두완씨를 좋아해서 말이야... 떡도 좀 들어’
봉두완은 가슴이 뭉클했다.
그러면서 갑자기 눈시울이 뜨거워졌다. 청와대 안의 야당을 자처하면서 국민노릇 해먹기 힘들다는 내말에 항변하고 호소하던 육영수 영부인의 모습을 봉두완은 아직도 잊지 못한다고 했다.
1979년 10·26 사태로 박대통령은 김재규의 흉탄에 서거했다.
봉두완은 박대통령이 동작동국립묘지 육영수여사 옆에 묻힌 다음 날 새벽 4시 통행금지가 풀리자마자 부인과 함께 동작동국립묘지로
가서 박대통령 묘지 앞에서 큰절을 하고 기도를 드리면서 ‘그동안 철없이 굴면서 시도때도 없이 신랄한 비판과 비난을 퍼부은 속좁은 저를 너그러이 받아주시고, 용서해주십시오’ 하고 큰절을 올리고 무덤을 바라보는 두 눈엔 뜨거운 눈물이 가득차 있었다.
평소에 “내가 죽고나면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고 한 박대통령 묘 앞에서 봉두완 부부는 하염없는 눈물만 뿌리고 돌아왔다.
봉두완은 박정희 대통령을 만나면 만날수록 인간미를 느끼게 하는 사람이었다며 독재자라기 보다는 시골면장 같기도 하고, 어떤때는 초등학교 담임선생님 같은 인상을 풍기는 아주 인간적인 모습으로 마음속에 각인돼 있다고 회고했다.
88세 봉두완은 지난날의 이야기를 자서전으로 남기면 세상에 도움이 되지않을까 해서 일기형식의 글을 펴내게 되었다고 했다.
일제시대에 태어나 분단의 철책을 넘어 자유대한민국에서 평생을 살아온 그는 통신사정치부기자와 워싱턴특파원 TV방송 앵커1호, 국회의원과 국회외무위원장을 지내면서 이 나라 근현대사를 지켜본 산증인으로서 그의 자서전은 하나의 역사 교과서이기도 한 것 같아 더욱 의미.가 깊다
조국 근대화를 부르짖으며 농촌 근대화를 새마을운동
과 함께 이룩해 놓고, 대대손손 농경생활에만 젖어있는 이 나라를 새로운 방향전환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철학을 가지고 과감하게 산업혁명을 일으킨 결과가 비로소 세계10대 강국에 진입할수 있었다고 생각할때 박정희 대통령은 국가부흥시대를 창조한 영웅이 아닐수 없다.
1964년 서독 방문
을 마치고 귀국
하면서 우리밥 비벼 먹을까하는 어느 시골 농부 같았던 박정희대통령이 내가 죽고나면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고 하는 대목을 두고 하염없이 눈물만 흘린 봉두완 앵커.
봉두완 앵커는 박정희 정부때인 1970년대 동양방송에서
“안녕하십니까 봉두완입니다”라는 시사프로그램 진행자
로 권력자에게도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은 봉두완씨가
최근 펴낸 자신의 회고록에서 박정희대통령과 육영수여사의 에피소드를 소개했다.
그는 1961년 5·16혁명으로 집권한 박정희대통령이 시골 농부 같은대통령
이었다고 회고했다.
어느 날 육여사의 연락을 받고, 청와대
를 방문한 봉두완 앵커는 육영수여사
와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를 나누다가 자리에서 일어나려는데 때마침 박정희대통령이 들어 오면서 ‘음... 깡패가 여기 왔구먼 오래만이요. 봉두완씨’ ‘아이구, 안녕하십니까? 대통령 각하’ 하면서 인사를 하였다.
까칠한 방송 기자를 깡패로 애둘러 말한 것이다.
육여사는 대통령에게 자리를 권하며 그동안 나눴던 대화를 대수롭지 않은 말투로 간략하게 전했다.
봉두완은 육여사가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시국현황에 대해 몇가지 얘기를 하고 자리를 뜨려하자, 박대통령이 ‘저녁이나 같이 하고 가지 봉두완씨’
그러자 봉두완은 ‘예’ 하고 앉았더니 ‘우리 식구들하고 저녁식사
나 같이해요’
봉두완이 같이 한 박대통령과의 식사는 온 가족과 함께 한 자리였다.
대통령의 딸 근혜와 근령은 먼저 청와대
2층 가족식당에 앉아 있었고 아들 지만이가 헐레벌떡 뛰어와 자리에 앉으며 대충 인사하는 것을 보고
‘야 무슨 인사를 그리하니 손님한테’ 대통령의 호통에 지만은 다시 일어나 정중하게 인사를 하는 것이었다.
저녁상은 놀라울 정도로 간소했고 대통령이 좋아하는 시바스리갈 한 병을 따놓고 서로 주거니 받거니 술을 마셨다.
얼큰해진 대통령이 봉두완에게 한마디 했다.
‘우리 같이 밥비벼 먹을까? 봉두완씨는 정말 애국자인거 같아’ ‘예! 아니 각하께서 무슨 황공한 말씀을...’
봉두완은 그날 몹시 취했다.
거나하게 취했을 때 박대통령이 불쑥 말했다.
우리 여기 밥비벼 먹을까?
아 네 좋습니다.
박대통령과 함께 한솥밥 먹듯이 남은 푸성귀와 나물 등을 한 그릇에 섞어 맛있게 밥을 비벼 먹었다.
봉두완은 박정희대통령의 서민다운 모습에
다시 한번 놀랐다.
밖에서는 독재자로 욕을 먹었지만 옆에서 본 대통령은 여느 서민과 다름이 없었다.
봉두완은 농부같은 순수함을 보이고 인간적으로 사람을 대하는 박대통령의 모습을 결코 잊을
수가 없다고 회고했다.
봉두완이 다시 청와대 초대를 받았을 때에는 육영수여사가 문세광
의 흉탄에 세상을 떠난후였다.
박대통령은 창문 커튼을 걷어 올리고 창밖을 바라보고 있을때 ‘안녕하십니까 각하! 봉두완입니다’ 하니 ‘여기가 방송국인가 그래...
그리 앉아 별고 없지. 봉두완씨 방송 비판 잘 듣고 있어요. 무작정 비판만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봉두완씨는 비판은 신랄하게 하지만 내가 보기엔 나라걱정이 배어 있어서 좋아요’
이렇게 한참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를 하다가 대통령이 자리에서 일어서며 ‘점심 식사하고 가세요’라고 했지만 안주인 없는 식탁은 허전하기만 했다.
간소한 식탁엔 포도주 한잔, 국수 한 그릇, 인절미 한 접시가 놓여 있었다.
국수는 그렇다쳐도 인절미는 좀 의아했다.
이게 웬 떡입니까?
‘응... 마침 오늘이 우리 집사람 생일이어서 임자를 불렀지.
그 사람이 생전에 봉두완씨를 좋아해서 말이야... 떡도 좀 들어’
봉두완은 가슴이 뭉클했다.
그러면서 갑자기 눈시울이 뜨거워졌다. 청와대 안의 야당을 자처하면서 국민노릇 해먹기 힘들다는 내말에 항변하고 호소하던 육영수 영부인의 모습을 봉두완은 아직도 잊지 못한다고 했다.
1979년 10·26 사태로 박대통령은 김재규의 흉탄에 서거했다.
봉두완은 박대통령이 동작동국립묘지 육영수여사 옆에 묻힌 다음 날 새벽 4시 통행금지가 풀리자마자 부인과 함께 동작동국립묘지로
가서 박대통령 묘지 앞에서 큰절을 하고 기도를 드리면서 ‘그동안 철없이 굴면서 시도때도 없이 신랄한 비판과 비난을 퍼부은 속좁은 저를 너그러이 받아주시고, 용서해주십시오’ 하고 큰절을 올리고 무덤을 바라보는 두 눈엔 뜨거운 눈물이 가득차 있었다.
평소에 “내가 죽고나면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고 한 박대통령 묘 앞에서 봉두완 부부는 하염없는 눈물만 뿌리고 돌아왔다.
봉두완은 박정희 대통령을 만나면 만날수록 인간미를 느끼게 하는 사람이었다며 독재자라기 보다는 시골면장 같기도 하고, 어떤때는 초등학교 담임선생님 같은 인상을 풍기는 아주 인간적인 모습으로 마음속에 각인돼 있다고 회고했다.
88세 봉두완은 지난날의 이야기를 자서전으로 남기면 세상에 도움이 되지않을까 해서 일기형식의 글을 펴내게 되었다고 했다.
일제시대에 태어나 분단의 철책을 넘어 자유대한민국에서 평생을 살아온 그는 통신사정치부기자와 워싱턴특파원 TV방송 앵커1호, 국회의원과 국회외무위원장을 지내면서 이 나라 근현대사를 지켜본 산증인으로서 그의 자서전은 하나의 역사 교과서이기도 한 것 같아 더욱 의미.가 깊다
조국 근대화를 부르짖으며 농촌 근대화를 새마을운동
과 함께 이룩해 놓고, 대대손손 농경생활에만 젖어있는 이 나라를 새로운 방향전환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철학을 가지고 과감하게 산업혁명을 일으킨 결과가 비로소 세계10대 강국에 진입할수 있었다고 생각할때 박정희 대통령은 국가부흥시대를 창조한 영웅이 아닐수 없다.
추천 0
작성일2023-11-25 07:46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