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영어 Self Test (제 13 회)
페이지 정보
Mason할배관련링크
본문
나의 영어 Self Test (제 13 회)
==
<문법>
--
037. Investigators discovered that a window had been broken from the outside.
/ 수사관들은 외부에서 창문이 깨진 것을 발견했다.
...
문 : that 이하는 무슨 절인가?
==
038. You locked the door. / 너는 문을 잠갔다.
...
문 : 의문문을 만들려면 ?
==
039. I want to drink some water. / 물을 좀 먹고 싶다.
...
문 : some + 가산명사(단수? 복수?) ?
==
037. 답 : 동사(break)의 주체를 모름 대상(a window)을 주어로 수동태
that a window had been broken from the outside.=명사절
==
038. 답 : 일반동사의 과거형(locked)이므로 주어 앞에 did를 추가합니다.
조동사(Did) + 주어(you) + 일반동사(lock)
Did you lock the door? 문 잠갔니?
==
038. 답 : some + 불가산명사 (water는 물질명사)
some + 가산명사 : I need some shirts.(나는 셔츠가 좀 필요하다.)
==
<영작>
--
037. Inv( )tors dis( )ed that a window had ( )n br( ) from the outside.
/ 수사관들은 외부에서 창문이 깨진 것을 발견했다.
==
038. You ( )ed the door. / 너는 문을 잠갔다.
==
039. I want to ( ) some water. / 물을 좀 먹고 싶다.
==
<발음>
--
037. /in.vés.tǝ.gèit.ǝrs/ /dis.kʌ́vǝrd/ that a window had been broken from the outside.
/ 수사관들은 외부에서 창문이 깨진 것을 발견했다.
==
038. You /lakt/ the door. / 너는 문을 잠갔다.
==
039. I want to drink /sʌm/ /wɔ́t.ǝr/. / 물을 좀 먹고 싶다.
==
==
<문법>
--
037. Investigators discovered that a window had been broken from the outside.
/ 수사관들은 외부에서 창문이 깨진 것을 발견했다.
...
문 : that 이하는 무슨 절인가?
==
038. You locked the door. / 너는 문을 잠갔다.
...
문 : 의문문을 만들려면 ?
==
039. I want to drink some water. / 물을 좀 먹고 싶다.
...
문 : some + 가산명사(단수? 복수?) ?
==
037. 답 : 동사(break)의 주체를 모름 대상(a window)을 주어로 수동태
that a window had been broken from the outside.=명사절
==
038. 답 : 일반동사의 과거형(locked)이므로 주어 앞에 did를 추가합니다.
조동사(Did) + 주어(you) + 일반동사(lock)
Did you lock the door? 문 잠갔니?
==
038. 답 : some + 불가산명사 (water는 물질명사)
some + 가산명사 : I need some shirts.(나는 셔츠가 좀 필요하다.)
==
<영작>
--
037. Inv( )tors dis( )ed that a window had ( )n br( ) from the outside.
/ 수사관들은 외부에서 창문이 깨진 것을 발견했다.
==
038. You ( )ed the door. / 너는 문을 잠갔다.
==
039. I want to ( ) some water. / 물을 좀 먹고 싶다.
==
<발음>
--
037. /in.vés.tǝ.gèit.ǝrs/ /dis.kʌ́vǝrd/ that a window had been broken from the outside.
/ 수사관들은 외부에서 창문이 깨진 것을 발견했다.
==
038. You /lakt/ the door. / 너는 문을 잠갔다.
==
039. I want to drink /sʌm/ /wɔ́t.ǝr/. / 물을 좀 먹고 싶다.
==
추천 0
작성일2025-02-07 09:26
Mason할배님의 댓글
Mason할배
기초 영문법(제 09 강)
Step 07-1 : 분사
==
분사는 동사와 형용사의 역할.
(동명사는 동사와 명사의 역할,)
분사의 형태는 동사의 어미에 ing 또는 ed, en을 붙인 것.
...
(1) 현재분사 (present participle) ∼doing, running, speaking 등
(2) 과거분사 (past participle) ∼done, spoken, fallen 등
==
1. 자동사의 분사와 타동사의 분사
자동사의 현재분사는 진행을 의미하고 과거분사는 완료를 의미하며
타동사의 현재분사는 능동의 진행을 의미하고 과거분사는 수동을 의미한다.
..
자동사
fall(떨어지다) ∼
falling leaves(떨어지는 잎)
fallen leaves(떨어진 잎, 즉 낙엽)
...
rise(떠오르다) ∼
rising sun(떠오르는 태양)
risen sun(떠오른 태양)
...
타동사
an exciting scene(사람을 열광시키는 광경)
the excited crowd(열광된 군중)
==
2. 분사의 형용사적 용법
==
1) 한정적 용법
분사는 형용사로서의 역할을 하며 명사의 앞 또는 뒤에 붙어서 명사를 수식. 이러한 용법으로 쓰이는 분사는 단독인 경우에는 명사 앞에 놓이며
여기에 다른 부사, 부사구, 목적어, 보어 따위가 붙어서
두 단어 이상이 될 때에는 수식하려는 명사 뒤에 놓이게 된다.
① a sleeping baby = a baby who is sleeping. (잠자는 아기)
a wounded soldier = a soldier who is wounded. (부상당한 병사)
② a baby sleeping in the cradle. (요람에서 잠자는 아기)
a soldier wounded in the back (등이 부상당한 병사)
==
2) 서술적 용법
동사의 보어로서 쓰이는 용법을 말 하는데
주격보어 및 목적격보어의 두 가지가 있고 용법은 위의 ① ②와 같다
...
자동사의 분사
I kept standing for an hour. / 나는 한 시간 동안 줄곧 서 있었다.
He came running into the room. / 그는 방안으로 뛰어 들어왔다.
...
타동사의 분사
I heard him singing an English song. /나는 그가 영어로 노래 부르는 것을 들었다. (능동)
I never heard him spoken ill of. / 나는 그가 욕을 먹는 것을 들은 일이 없다. (수동)
==
3. have(get) + 목적어 + 과거분사
have가 사역동사로 쓰일 때와 get이 준사역동사로 쓰일 때 수동형이 없다.
...
① She had him carry the bag. (사역동사)
② She got him to carry the bag. (준 사역동사)
(그는 그로 하여금 가방을 운반토록 시켰다.)
...
※ 원래 사역동사는 to가 없는 원형부정사를 쓰도록 되어 있는데
①의 had는 사역동사이나 ②에서는 got가 사역적인 구실만 하고 to를 사용하기 때문에 got를 준사역동사라고 한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had, got를 그대로 둔 채 him과 bag사이의 태를 변경시킨다.
= She had (got) the bag carried by him.
(그녀는 그로 하여금 가방을 운반토록 시켰다.)
또한 비슷한 예로
I had him teach music. (나는 그로 하여금 음악을 가르치도록 시켰다.)
I had him learn music. (나는 그로 하여금 음악을 배우도록 했다.)
==
Step 07-1 : 분사
==
분사는 동사와 형용사의 역할.
(동명사는 동사와 명사의 역할,)
분사의 형태는 동사의 어미에 ing 또는 ed, en을 붙인 것.
...
(1) 현재분사 (present participle) ∼doing, running, speaking 등
(2) 과거분사 (past participle) ∼done, spoken, fallen 등
==
1. 자동사의 분사와 타동사의 분사
자동사의 현재분사는 진행을 의미하고 과거분사는 완료를 의미하며
타동사의 현재분사는 능동의 진행을 의미하고 과거분사는 수동을 의미한다.
..
자동사
fall(떨어지다) ∼
falling leaves(떨어지는 잎)
fallen leaves(떨어진 잎, 즉 낙엽)
...
rise(떠오르다) ∼
rising sun(떠오르는 태양)
risen sun(떠오른 태양)
...
타동사
an exciting scene(사람을 열광시키는 광경)
the excited crowd(열광된 군중)
==
2. 분사의 형용사적 용법
==
1) 한정적 용법
분사는 형용사로서의 역할을 하며 명사의 앞 또는 뒤에 붙어서 명사를 수식. 이러한 용법으로 쓰이는 분사는 단독인 경우에는 명사 앞에 놓이며
여기에 다른 부사, 부사구, 목적어, 보어 따위가 붙어서
두 단어 이상이 될 때에는 수식하려는 명사 뒤에 놓이게 된다.
① a sleeping baby = a baby who is sleeping. (잠자는 아기)
a wounded soldier = a soldier who is wounded. (부상당한 병사)
② a baby sleeping in the cradle. (요람에서 잠자는 아기)
a soldier wounded in the back (등이 부상당한 병사)
==
2) 서술적 용법
동사의 보어로서 쓰이는 용법을 말 하는데
주격보어 및 목적격보어의 두 가지가 있고 용법은 위의 ① ②와 같다
...
자동사의 분사
I kept standing for an hour. / 나는 한 시간 동안 줄곧 서 있었다.
He came running into the room. / 그는 방안으로 뛰어 들어왔다.
...
타동사의 분사
I heard him singing an English song. /나는 그가 영어로 노래 부르는 것을 들었다. (능동)
I never heard him spoken ill of. / 나는 그가 욕을 먹는 것을 들은 일이 없다. (수동)
==
3. have(get) + 목적어 + 과거분사
have가 사역동사로 쓰일 때와 get이 준사역동사로 쓰일 때 수동형이 없다.
...
① She had him carry the bag. (사역동사)
② She got him to carry the bag. (준 사역동사)
(그는 그로 하여금 가방을 운반토록 시켰다.)
...
※ 원래 사역동사는 to가 없는 원형부정사를 쓰도록 되어 있는데
①의 had는 사역동사이나 ②에서는 got가 사역적인 구실만 하고 to를 사용하기 때문에 got를 준사역동사라고 한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had, got를 그대로 둔 채 him과 bag사이의 태를 변경시킨다.
= She had (got) the bag carried by him.
(그녀는 그로 하여금 가방을 운반토록 시켰다.)
또한 비슷한 예로
I had him teach music. (나는 그로 하여금 음악을 가르치도록 시켰다.)
I had him learn music. (나는 그로 하여금 음악을 배우도록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