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욕설, 비방, 광고, 도배질 글은 임의로 삭제됩니다.

실패한 약인줄 알았던 렘데시비르 ‘게임체인저’되나

페이지 정보

pike

본문

d7028108288_n.jpg



미국의 바이오기업 길리어드가 코로나19 치료제로 실험중인 약인 렘데시비르가 코로나19 관련 의약계를 획기적으로 바꿀 ‘게임체인저’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에볼라바이러스 치료제로 개발하다 중단했지만 정작 이 병 아닌 코로나19 치료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발표되고 있기 때문이다.

◇ 렘데시비르 투약한 중환자 68%가 회복 : 17일 의학전문사이트 웹엠디(WebMD)에 따르면 지난 10일 출간된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JM)에는 ‘코로나19 중증환자에 대한 렘데시비르의 사용’이라는 제목의 논문이 실렸다.
미국과 캐나다, 유럽과 일본의 연구자들이 코로나19 환자 53명을 대상으로 렘데시비르를 투약하는 실험을 실시했는데 약 68%에 해당하는 36명이 산소 지지 정도(oxygen-support) 수준이 좋아지며 증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공호흡기를 사용했던 30명 중 17명(57%)은 이를 벗을 수 있었다.

지난 13일에 국제학술지인 ‘생물화학저널’에 발표된 한 연구는 렘데시비르가 효소의 일부인 것처럼 바이러스를 속이면서 복제를 막는다고 설명했다.
연구는 “렘데시비르는 코로나바이러스 폴리메라아제(중합효소)의 매우 강력한 억제제”라면서 이를 이용하면 바이러스는 확산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폴리메라아제는 중합효소, 즉 DNA와 RNA 같은 핵산 형성의 촉매가 되는 효소를 말한다. 연구에 따르면 렘데시비르는 느슨한 코로나 폴리메라아제 조직에 마치 조직 일부인 듯이 섞여들어가 바이러스를 속인 후 RNA 복제를 막는다. 코로나바이러스는 RNA바이러스에 속한다.

◇ 시카고대 연구 “1주일만에 코로나 완치” : 정식 논문이 아니라 토론 영상 속 정보가 사전 유출된 경우긴 하지만 시카고대학교에서 진행한 연구에서도 렘데시비르의 약효가 뚜렷했다.
16일 미국 현지 메디컬매체인 ‘스탯 뉴스’는 이번주 시카고 의료진들이 임상실험 결과를 토론한 영상을 입수해 내용을 분석해 보도했다. 3단계 임상실험에서 코로나19로 입원한 환자들 대부분은 렘데시비르 치료 이후 열과 호흡기 증상이 크게 완화해 1주일도 되지 않아 퇴원했다는 것이다.
시카고대는 상태가 위중한 113명의 환자를 포함해 코로나19 환자 125명을 모집해 임상실험을 진행했다. 모든 환자들은 매일 렘데시비르를 투약받았다.
시카고대 연구진은 고열로 고통받던 환자들이 약을 투약하자 열이 급속도로 내렸고, 인공호흡기를 끼고 있던 일부 환자는 투약 하루만에 자가호흡이 가능해졌다고 전했다.
그 결과 대부분이 6일째 퇴원했으며 3명만이 그 이상의 치료 기간이 필요했다. 사망자는 두명이었다.

◇ 실패작인줄 알았던 약품의 성공…속단은 금물 : 렘데시비르는 뉴클레오타이드 유사체 항바이러스 제제로 RNA 복제를 막아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는 기전을 갖고 있다. 원래 에볼라바이러스 치료를 위해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었으나 MSD와 존슨앤드존슨 등 경쟁사에서 개발한 약물 정도의 효능을 입증하지 못하면서 개발이 중단됐다.
그러나 전임상 단계에서 진행했던 동물실험에서 간염바이러스와 코로나바이러스의 일종인 중동호흡기증후군(MERS-CoV·메르스)에 효능을 보이며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해결할 수 있는 해법으로 떠올랐다.
하지만 많은 성공 사례들에도 그 효과를 속단하기에는 이르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뉴욕 타임스(NYT)에 따르면 길리어드측은 이메일을 통해 “렘데시비르 관련 자료에 대한 관심을 이해하고 있으나, 시험에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선 전체 데이터를 분석해야한다”고 설명했다.

시카고대학 또한 “연구자들간 내부 포럼 정보가 허가 없이 공개됐다”며 “진행 중인 임상 시험의 일부 데이터는 불완전한 데이터로 결론을 내리는 데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임상적으로는 이 약이 탁월한 효과를 보이고 있지만 연구에 필수적인 비교 대조군이 없다는 약점을 갖고 있다고 지적한다. 즉 약물이 없었더라도 비슷한 속도로 회복했을지 알 수 없다는 의미다. 또 치료 대상 환자수가 너무 적다는 점도 문제다.
길리어드 측은 중증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3상 연구 자료는 이달 말쯤, 그리고 추가 정보는 5월 중 공개할 예정이다.
(뉴스1)
추천 0

작성일2020-04-17 09:45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4939 중국기업에 팔린 미국공장의 실태 인기글 pike 2020-04-24 2866 0
4938 미쳤나봐요...와 댓글[1] 인기글 paulkimmade 2020-04-24 2774 0
4937 외신 속보 : 중국 의료진 비밀리에 방북 인기글 충무공 2020-04-24 2690 0
4936 해외 동포들에게 최적인 사회/연예 앱 - meetme 댓글[2] 인기글 dongsoola 2020-04-24 2321 0
4935 존 조 "우리가 조건부 미국인?" 코로나19 인종주의 비판 댓글[1] 인기글 푸다닭 2020-04-24 2654 0
4934 독일백수 레전드 인기글 pike 2020-04-24 2699 0
4933 미국 16세 소년들 초인종 장난하다 사망 인기글 pike 2020-04-24 3387 0
4932 클램 챠우더 1200인분.... 인기글 상식 2020-04-24 2724 0
4931 화물칸 아닌 `대통령 전용기 좌석`에 고이 모셔져 수송된 독립운동가 유해 댓글[2] 인기글 푸다닭 2020-04-24 2710 3
4930 빈소 방문 유족들과 만남 인기글 충무공 2020-04-24 2515 0
4929 북한 내부 상황 그리고 문재인 정부의 수상한 행동 인기글 충무공 2020-04-24 2682 0
4928 미슐랭 2스타 정식당 임정식 셰프 이혼 인기글 pike 2020-04-24 7655 0
4927 누가 봐도 친남매 댓글[1] 인기글 pike 2020-04-24 3528 0
4926 우리나라 최고의 고소득 직종은? 인기글 pike 2020-04-24 3057 0
4925 미국으로 가는 마약 카르텔 잠수함들 사진 인기글 pike 2020-04-24 3921 0
4924 유치원 알림문자 대참사ㄷㄷ 인기글 pike 2020-04-24 2702 0
4923 CNN긴급타전 댓글[1] 인기글 ssamdi 2020-04-24 3558 0
4922 박원아, 샌프란시스코발레단 수석무용수 초고속 승급 인기글 pike 2020-04-24 2725 0
4921 걸으면 생기는 이득 5 인기글 pike 2020-04-24 2690 0
4920 전쟁중 헤어진 연인을 50년만에 만나게 된 사연 인기글 pike 2020-04-24 2699 0
4919 美 4월 23일 4만명 최다 감염코로나 환자 총 84만명 육박 인기글 pike 2020-04-24 2649 0
4918 뉴욕시민 21% 집단감염! 인기글 pike 2020-04-24 2613 0
4917 캐나다에서도 중국산 마스크 100만 개 ‘부적합’ 판정 댓글[1] 인기글 pike 2020-04-24 2513 0
4916 성폭행범을 단죄하는 법 인기글 칼있으마 2020-04-24 2516 0
4915 한국사위로 알려진 래리 호건과 유미 호건의 재혼, 암투병, 삶 그리고 사랑이야기 인기글 혁성 2020-04-24 2747 0
4914 484년 만에 말끔한 자태 드러낸 ‘창경궁 자격루’ 댓글[1] 인기글 푸다닭 2020-04-23 2674 0
4913 트럼프의 '잠정적 이민 중지' 해당자는 누구? 인기글 푸다닭 2020-04-23 2610 0
4912 코로나로 육류 공급 부족사태 오나 인기글 푸다닭 2020-04-23 2771 0
4911 아메리칸항공, 한국發 구호물품 인천-LA 화물기 주7회 수송 인기글 푸다닭 2020-04-23 2269 0
4910 KBO 응원팀 고르고 있는 외국 형님들.jpg 인기글첨부파일 푸다닭 2020-04-23 2268 0
게시물 검색
* 본 게시판의 게시물에 대하여 회사가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